Responsive Advertisement

한글 각주·미주 넣기 총정리 - 단축키·꾸미기까지 완벽 가이드

책이나 보고서를 읽다 보면, 단어 옆에 작게 ‘1)’ 같은 숫자 표시가 달린 걸 본 적 있으시죠? 이건 바로 ‘주석(註釋)’이에요. 본문 내용에 직접 쓰기엔 애매한 설명이나 출처를 글 흐름을 해치지 않으면서 덧붙일 수 있는 방법이죠.

오늘은 한글(HWP)에서 자주 사용하는 각주와 미주의 차이, 추가·삭제·꾸미는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다음은 사용할 한글 서식 디자인 샘플 문서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자유롭게 다운로드해서 활용해 보세요.



각주와 미주의 차이

구분 각주 미주
위치 현재 페이지 하단 문서 전체의 끝부분
특징 본문과 가까워 바로 확인 가능 문서 전체의 주석을 한눈에 모아볼 수 있음
활용 예시 단어 설명, 간단한 참고 참고 문헌, 긴 부연 설명
👉 간단히 말해, “바로 밑에서 보고 싶다면 각주”, “한곳에 모아두고 싶다면 미주”를 쓰면 됩니다.



각주 다는 법

1️⃣ 커서 위치 잡기
→ 주석을 달고 싶은 단어나 문장 끝에 커서를 두세요.

2️⃣ 상단 메뉴 선택
→ [입력] → [주석] → [각주] 클릭

3️⃣ 자동으로 번호 생성
→ 본문에는 ‘1)’ 번호가 붙고, 하단에는 주석 입력란이 생깁니다.

💡 단축키 꿀팁
Ctrl + N → N 을 누르면 한 번에 각주를 삽입할 수 있어요.

🧹 삭제할 때는?
주석 번호를 클릭 후 백스페이스(←)를 눌러 ‘지움’을 선택하면 됩니다.

한글-각주-다는-법1

한글-각주-다는-법2




미주 다는 법

1️⃣ 커서 위치 잡기
→ 주석을 달 문장을 선택합니다.

2️⃣ 상단 메뉴 선택
→ [입력] → [주석] → [미주] 클릭

3️⃣ 문서 끝에 자동 생성
→ 문서의 마지막 페이지에 미주 입력란이 나타납니다.

💡 단축키
Ctrl + N → E 입력 시 빠르게 미주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

한글-미주-다는-법1

한글-미주-다는-법2



각주 미주 모양 꾸미기

📌 기본 설정 그대로 써도 되지만, 문서 분위기에 맞게 디자인을 바꿔주면 더 깔끔해집니다.

1️⃣ 상단 메뉴 → [입력 옆 화살표] → [주석] → [각주/미주 모양] 클릭
2️⃣ 설정창에서 번호 모양, 구분선, 위치 등을 자유롭게 변경

예를 들어,
  • 각주는 숫자(1, 2, 3...)
  • 미주는 소문자(a, b, c...) 로 구분하면 한눈에 보기 좋아요.
💡 더 간단한 방법
- 주석 번호를 더블클릭해도 글꼴, 크기, 색상을 바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한글-각주-미주-모양-꾸미기

한글-각주-미주-모양-꾸미기1

한글-각주-미주-모양-꾸미기2


🧠 왜 각주·미주를 써야 할까?
  • 본문 내용의 가독성 유지
  • 출처나 참고자료 표기
  • 글의 전문성과 신뢰도 향상
작은 표시 하나지만, 문서의 완성도를 한 단계 끌어올려 줍니다. 보고서, 리포트, 논문, 블로그 글 모두 활용 가능하니 꼭 익혀두세요!



마무리

📂정리
기능 메뉴 경로 단축키
각주 입력 → 주석 → 각주 Ctrl + N → N
미주 입력 → 주석 → 미주 Ctrl + N → E
모양 변경 입력 옆 화살표 → 주석 → 각주/미주 모양 -
각주·미주는 단순한 기능 같지만, 전문적인 문서 작성의 ‘마지막 디테일’입니다. 한글에서 몇 번만 익혀두면 언제든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니, 이번 기회에 꼭 한번 따라 해보세요!
이전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