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ponsive Advertisement

한글 가로 세로 혼합 문서, 이렇게 만들면 깔끔하게 정리됩니다

한글 문서를 만들다 보면 전체는 세로 방향이지만 중간에 가로 방향으로 바꾸고 싶은 페이지가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죠. 예를 들어, 긴 표나 와이드한 이미지가 들어갈 때입니다. 이럴 때 중요한 포인트는 단 하나! '구역 나누기'를 먼저 설정해야 페이지 방향을 혼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구역 나누기의 의미부터 실제 활용법까지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릴겠습니다.



한글 구역 나누기란?

한글의 ‘구역 나누기’ 기능은 하나의 문서를 여러 개의 독립된 블록(구역)으로 나누는 기능입니다. 각 구역마다 다음과 같은 설정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항목 구역마다 다르게 가능
용지 방향 O (세로/가로 혼합 가능)
여백 설정 O
머리말/꼬리말 O
쪽 번호 형식 O
배경색, 배경 이미지 O

한글의 구역 나누기를 위해 용지 방향, 여백 설정, 머리말/꼬리말, 쪽 번호 형식, 배경색, 배경 이미지 등을 구역마다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한글 문서에서 가로 세로 페이지 혼합하는 방법

📄 예시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1페이지: 기본 세로
2페이지: 가로로 바꾸고 싶음
3페이지부터는 다시 세로로 복귀

기본 세로 > 가로 > 세로 페이지로 혼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글-문서에서-가로-세로-페이지-혼합하는-방법-예제


첫 페이지 끝에서 구역 나누기

  • 1페이지 마지막 줄 클릭
  • 상단 메뉴 → [쪽] → [구역 나누기] 클릭

Tip: 구역은 바꾸고 싶은 페이지 바로 앞에서 나누어야 불필요한 빈 페이지가 생기지 않아요.

② 2페이지를 가로로 설정

  • 2페이지 첫 줄 클릭
  • 상단 메뉴 → [쪽] → [용지 방향] → [가로] 선택
이제 2페이지는 가로 방향이 적용됩니다.

③ 3페이지부터 다시 세로로 변경

  • 3페이지 첫 줄 클릭
  • 다시 [쪽] → [구역 나누기] 클릭 → [세로] 선택
이제 3페이지부터는 다시 세로 방향이 적용됩니다.


한글 구역 나누기의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문서의 페이지의 마지막 줄로 커서를 이동한 다음, [쪽] 탭을 우측 상단의 [구역 나누기]를 클릭합니다. 참고로 현재는 1/1구역입니다.

한글-문서에서-가로-세로-페이지-혼합하는-방법1

다음과 같이 [구역이 2/2]로 생성되면, 가로로 변경할 페이지 첫 줄로 이동한 뒤[쪽] 탭의 [가로]를 클릭합니다.

한글-문서에서-가로-세로-페이지-혼합하는-방법2

다음과 같이 [2/2 구역]에 가로 페이지가 적용됩니다.

한글-문서에서-가로-세로-페이지-혼합하는-방법3

[2/2구역]에서 다시 세로 페이지를 적용할 페이지의 첫 줄로 커서를 이동한 다음, 쪽 탭을 눌러 [구역 나누기]를 클릭합니다.

한글-문서에서-가로-세로-페이지-혼합하는-방법4

[3/3구역]이 생성되면, [쪽] 탭에서 [세로] 페이지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한글-문서에서-가로-세로-페이지-혼합하는-방법5

다음과 같이 세로 > 가로 > 세로 페이지로 적용됩니다.

한글-문서에서-가로-세로-페이지-혼합하는-방법6



다음은 필자가 무료로 제공하는 한글 목차 디자인 문서이니 다운로드하여 사용하길 바랍니다.



한글 구역 설정 시 꼭 알아야 할 팁

페이지의 마지막 줄은 [보기] 탭에서 [문단 부호]를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글-구역-설정-시-꼭-알아야-할-팁1

구역별로 여백 설정 등을 변경하려면, 해당 구역의 첫 줄을 클릭한 뒤 [파일] 탭에서 [편집 용지]를 클릭합니다.

한글-구역-설정-시-꼭-알아야-할-팁2

[편집 용지] 창이 열리면, 용지 방향과 여백을 원하는 값으로 수정한 뒤, 적용 범위를 [새 구역]으로 선택하고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참고로, 이 과정은 구역을 나누기와 같은 방식으로 적용됩니다.

한글-구역-설정-시-꼭-알아야-할-팁3



한글 구역 나누기 정리 및 활용 팁

‘한글 구역 나누기’ 기능은 단순히 페이지 방향만 바꾸는 것이 아니라 한 문서 안에서 다양한 포맷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긴 표, 넓은 이미지, 혹은 프레젠테이션 스타일 문서를 만들 때 꼭 활용해보세요. 한글 문서를 더 유연하게 다루고 싶은 분들에게 오늘의 팁이 실무에 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