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인상을 바꾸는 가장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방법, 바로 ‘세로쓰기’ 기능입니다. 한글(HWP) 프로그램에서는 청첩장, 초대장, 상장, 전통 문서 등 특별한 형식의 문서를 작성할 때 세로쓰기를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글 세로쓰기 설정 방법부터 자주 겪는 오류, 실용적인 활용 팁까지 알아보겠습니다.
한글 세로쓰기, 어떤 문서에 어울릴까?
한국어는 원래 세로쓰기 언어였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지금은 가로쓰기가 표준이 되었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세로쓰기가 훨씬 자연스럽고 멋스럽게 느껴집니다.
- 전통 청첩장, 돌잔치 초대장
- 상장, 표창장 등 공문서
- 고전 문헌 인용문, 족보 등 전통 서식
- 파일 라벨, 책 등 세로 공간에 텍스트를 넣을 때
한글에서 세로쓰기 설정하는 방법
한글(HWP)에서 세로쓰기 기능은 생각보다 깊숙한 위치에 있습니다. 하지만 아래 순서대로 따라 하면 누구나 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 단계
- 한글 프로그램 실행 후 문서를 엽니다.
- 상단 탭에서 [쪽] 메뉴를 클릭
- [글자 방향] > [글자 방향 설정(C)] 메뉴 선택
- 뜨는 팝업창에서 ‘영문 눕힘’, ‘영문 세움’ 중 하나 선택 (일반적으로 ‘영문 눕힘’이 오른쪽부터 내려오는 전통적인 세로쓰기)
- 확인 후 적용하면, 문서 전체가 세로쓰기 방향으로 전환됩니다
한글에서 세로쓰기의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쪽] 탭을 눌러 빠른 실행 아이콘인 글자 방향 더 보기에서 [글자 방향 설정]을 클릭합니다.
또는 [쪽] 탭 더 보기를 눌러 [글자 방향]에서 [글자 방향 설정]을 클릭합니다.
글자 방향 설정 대화 상자에서 용지 방향, 종류, 선택 사항을 지정한 후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때 중요한 점은, 세로쓰기를 적용할 경우 한글은 자동으로 세움 방식으로 설정되며, 영문은 [영문 세움]과 [영문 눕힘]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제 텍스트를 입력하면, 한글 세움과 영문 세움으로 기재할 수 있습니다.
다른 예시로, [영문 눕힘]을 선택하면 [설정]을 클릭해 보겠습니다.
영문 눕힘이 적용되어 영문 텍스트를 입력하면 적용됩니다.
한글 세로쓰기 시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세로쓰기를 적용할 때는 아래와 같은 요소들을 미리 체크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항 목 | 주의 사항 |
---|---|
특수문자 | 일부 특수문자는 세로쓰기에서 깨져 보일 수 있습니다 |
영문/숫자 | 기본적으로 가로방향 유지, 문맥상 불균형 발생 가능 |
표/이미지 | 텍스트 흐름과 충돌할 수 있어 수동 정렬 필요 |
줄 간격 | 기본 설정보다 간격을 넓게 조정해야 가독성 확보 |
또한, 자동으로 문서 사이즈(용지 여백)가 조정될 수 있으니 별도의 설정이 필요합니다.
마무리 정리
세로쓰기 기능은 눈에 띄는 ‘디자인 효과’를 낼 수 있는 도구입니다. 텍스트의 방향 하나로 문서의 분위기가 크게 달라지니, 꼭 한 번 실습해 보세요.
단순한 기능처럼 보이지만, 문서의 목적과 분위기를 제대로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잘만 활용하면 전통성과 전문성, 격식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답니다.